호버맵(Hovermap) 드론라이다로 건출물, 지형지물, 공간 정보를 포인트 클라우드로 저장하여, 언제든지 수치화 및 도면화 시킬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켰습니다.
UAV LiDAR Hovermap을이용하여소제동철도관사촌 3D스캔
자율주행 드론스캐너인 UAV LiDAR Hovermap(호버맵)으로 소제동 철도관사촌이 포함된 국가등록문화재 168호인 철도보급창고 주변의 대전역세권 재정비구역에 대한 3D스캔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과거에 문화재 기록을 할 때는모두 사람 손으로 직접 실측도면을 작성했지만, 이런 작업들은 매우 비효율적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Hovermap(호버맵)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은 물론이며, 지형지물과 면 단위 공간 정보를 무수한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로 저장할 뿐만 아니라,언제든 수치화 및 도면화를 시킬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화재 기록화를 하는 방식
1. 기준점 3D측량
측량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측량의 기본이 되는 기준점을 정하고 3D측량을 진행합니다.
2. 조사구역항공 3D스캐닝
전체적인 조사구역을 3D스캔하기 위해 드론에 Hovermap을 장착하여 항공 3D스캔을 진행합니다.
3. 핸드헬드(Hand-Held)방식으로 3D스캔
항공 스캐닝으로 3D스캔하지 못한 골목의 세세한 부분을 스캔하기 위해 직접 3D스캐너를 손에 드는 방식으로 골목 사이를 3D스캔합니다.
(주)이즈소프트
support@issoft.co.kr 경기도 군포시 공단로 140번길 46, 1003-1004호 I 031. 436. 1422